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기생충(PARASITE, 2019)
    review/영화기록 2021. 11. 20. 10:47
    반응형

    기생충(PARASITE, 2019)

    개봉 : 2019.05.30

    장르 : 드라마

    국가 : 한국

    러닝타임 : 131

    감독 : 봉준호(Joon Ho Bong)

     

    1. 극과극의 두가족

    전원백수로 살 길이 막막하지만 사이는 좋은 기택(송강호)의 가족은 장남 기우(최우식)에게 명문대생 친구가 연결시켜 준 고액 과외 자리소개시켜 준다. 그 기회를 통해 가족 모두가 글로벌 IT기업 CEO인 박사장(이선균)의 가족을 속이고 저택에 들어가게 된다. 그곳에는 젊고 아름다운 사모님 연교(조여정)가 기우를 맞이하고 기택의 가족에게 쉽게 속아 넘어간다. 이렇게 시작된 두 가족의 만남 뒤에는 엄청난 사건이 기다리고 있다. 잘 살고 싶었던 백수 가족의 엉뚱한 희망은 걷잡을 수 없는 사건으로 커져만가고 극은 희비극적 정서를 충격과 공감으로 전해준다.

     

     

    2. 봉준호 감독

    봉준호 감독은 자신만의 화두와 독특하고 신선한 스타일의 소재로 영화를 흥미롭고 완성도 높게 다뤄왔다. 특정 장르의 틀에 갇히지 않는 상상력 또한 뛰어나고 새로운 이야기에 현실과 사회에 대한 풍자와 날 선 비판을 담은 봉준호만의 독창적인 장르영화는 관객들의 지지와 사랑을 받아왔다. 7번째 장편 기생충은 지금까지의 영화 중에서도 가장 예측 불가능한 전개와 재미를 선사한다. 감독은 공생이 어려워진 각박한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극과 극의 삶을 사는 두 가족의 모습을 그렸다. 가족 구성원을 부모와 자녀가 다 함께 있는 형태로 설정했고 현재의 시점을 중요하게 생각해 마치 우리 옆집이나 옆 동네에 살고 있을 것만 같은 두 가족을 그렸다. 극과 극의 삶의 조건을 가진 두 가족을 몇 번의 우연들을 통해 예측불허의 상황으로 끌여들여 두 가족의 운명을 공생을 꿈꾸는 것 자체가 점차적으로 공상이 되어가는 현실이라는 현대사회의 자화상을 보여준다. 우리는 상생 또는 공생을 바라지만 쉽지만은 않다는것을 느낀다. 이런 문제들은 개인의 의지와 무관한 것으로 현재의 자본주의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함께 잘 산다는 것에 대해 봉준호 감독만의 방식으로 질문을 던졌다.

     

    3. 연기파 배우들

    송강호, 이선균, 조여정, 최우식, 박소담, 이정은, 장혜진 등 연기파 배우들이 다수 출현했다. 무엇보다 개성이 강한 캐릭터의 요소와 가족을 연기 해야하는 배우들의 호흡이 중요했는데 탄탄한 연기력으로 감독이 원한 인물들을 완벽히 그려냈다. 설국열차 홍경표이 촬영을 맡았고, 옥자의 이하준 미술감독과 정재일 음악감독이 영화를 함께 완성시켰다. 100% 국내 스탭들의 재능으로 이루어진 한국영화의 눈부신 현재를 확인할 수 있다.

     

    4. 공간의 의미를 넘어선

    기생충에서 펼쳐진 공간은 영화의 이야기와 직결되며 반지하의 사는 전원백수의 가족과 언덕위의 박사장님까지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 수직 구조는 두가족의 사회적 위치를 대변하며 공간을 이어주는 역할을 넘어서 현대사회의 수직적 계층구조에 대한 메타포의 기능을 하고 있다. 두가지의 공간들은 동시대를 살고 있으나 만날일이 두 가족이 살아가는 삶의 배경을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그리고 인물의 동선을 따라 하나씩 드러나는 사건들에 훌륭한 이유를 제공한다.

    5. 250여개의 수상

    영화 기생충은 국내외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다. 수상한 상은 해외에서만 무려 200개에 가깝다. 국내까지 합치면 250여 개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제72회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66회 시드니 영화제 대상, 2019 국제 씨네필 협회 칸 시상식 감독상, 2019 프랑스 극장 협회아트하우스 시네마상, 44회 토론토 국제 영화제 관객상 Second Runner-Up, 15회 유라시아 국제 영화제 장편 경쟁부문 감독상, 15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 JIMFF 어워즈 올해의 영화인(봉준호), 24회 춘사영화상 4관왕, 72회 로카르노 국제 영화제 Excellence Award, 42회 길드 필름프라이스 최우수 국제 장편 영화상, 15회 텍사스 판타스틱 페스트 관객상 Winner,11회 울란바토르 국제 영화제 관객상 Winner, 17회 톨그래스 국제 영화제Golden Strands awards, 23회 할리우드 필름 어워드 Filmmaker Award, 43회 상파울루 국제 영화제 관객상 Winner, 29회 필름 프롬 더 사우스 페스티벌 관객상 Winner, 40회 청룡영화상 5관왕, 13회 아시안 퍼시픽 스크린 어워드 최우수 작품상, 3회 한중 국제 영화제 시나리오 수상 선정, 20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여자연기자상(이정은) 등이 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